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정보가 아닙니다.
우리는 뼈를 딱딱하고 변하지 않는 기관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뼈는 끊임없이 변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뼈에는 칼슘이나 인이 들어있어 일견 딱딱해 보이지만, 사실은 매년 10% 정도가 망가지고 10%가 새롭게 교체됩니다. 10년이면 우리 몸의 거의 모든 뼈가 바뀌게 되죠. 변함없이 그 자리에 고정된 것 같아 보여도 항상 우리 몸에서는 낡은 것을 부수고 새로운 것을 만드는 일들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
환자분들은 골다공증이 있거나 골밀도가 나쁘다고 말씀을 드리면 먼저 뼈의 통증을 떠올리시는데, 사실 골다공증은 아무런 증상이 없습니다. 부러질 때 비로소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거죠. 이렇듯 골다공증은 아무 증상 없이 진행이 되기 때문에 우리가 신경 써야 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
골다공증 진단을 받으면 보험으로 골다공증 약을 드리지만, 골다공증이 되기 전 단계인 골감소증이면 칼슘과 비타민D 제제만 보험으로 처방해 드려요. 이렇게 칼슘과 비타민D를 받으신 환자분들은 몇 년 후 뼈가 나빠졌다는 말씀을 들으면 놀라십니다. 칼슘과 비타민D가 골밀도를 높여주는 치료제라고 생각하셨거든요.
하지만 골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골다공증 치료제를 복용하셔야 하고요. 그 전 단계에서 쓰는 칼슘과 비타민D는 골밀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시기에 이 속도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칼슘과 비타민D는 영양소일 뿐, 섭취한다고 한들 골밀도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지는 않습니다. |
몇몇 환자분들은 칼슘 영양제를 먹으면 신장결석이 생긴다, 또는 동맥경화를 일으킨다는 얘기를 듣고 칼슘을 멀리하시기도 하는데요. 성인은 하루 700~800mg의 칼슘 섭취를, 골다공증 환자는 800~1,000mg의 칼슘 섭취를 필요로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대한민국 성인의 평균 칼슘 섭취량은 514mg란 부분입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가장 잘 일어나는 노인 여성의 칼슘 섭취량은 400mg인데요. 실제 칼슘 권장량에 비하면 절반 이하를 드시는 거죠. |
칼슘의 가장 좋은 급원은 유제품입니다. 음식물로 들어오는 칼슘은 부작용이 없습니다. 우유를 많이 드신다고 해서 석회화가 일어나거나 신장결석이 생기지 않아요. 그리고 골다공증 환자가 800~1,000mg의 칼슘 섭취를 하기 위해서는 여기서 칼슘 영양제를 함께 드셔야 합니다. 그런데 영양제로 칼슘을 섭취하면 한 번에 혈중 칼슘 농도가 높아져서 질환을 일으킬 수 있죠.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자면, 우선 한 번에 섭취하는 칼슘은 500mg 이하로 하시는 게 좋아요. 양을 나눠서 하루에 두 번씩 드시는 식으로 섭취하시는 게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또, 칼슘은 공복보다는 식후에 섭취하는 것이 흡수가 잘 되고요. 마지막으로, 여러 영양제를 복용하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영양제를 찾는 게 좋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칼슘 영양제 중 하나를 먹고 속이 안 좋아져도, 다른 영양제는 괜찮을 때가 있거든요. |
|
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정보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