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성분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해당 성분을 함유한 모든 제품에 동일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옆으로 누우면 사시가 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사시는 대부분 어릴 때부터 갖고 계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린 시절에는 큰 증상이 없고 티가 나질 않아 모르고 지내다가, 야간에 스마트폰을 장시간 보면서 사시 증상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
사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나이가 들면서 노안이 생겼을 때입니다. 눈이 밖으로 치우친 사시를 '외사시'라고 합니다. 외사시를 갖고 계신 분이어도 돌아나간 눈을 융합력으로 잡아당기면 초점을 맞춰줄 수 있는데요. 노안이 오면 가까운 물체를 보는 시력이 떨어져서 융합력이 방해를 받게 돼, 사물이 둘로 보이는 등 불편한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옆으로 누워서 사물을 볼 때입니다. 옆으로 누워 사물을 보시게 되면 베개나 이불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눈이 생기잖아요. 사시는 두 눈을 사용하면 드러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데, 한 쪽 눈이 시야가 확보가 잘 안 되면 양 눈이 서로 시야를 보상해주는 힘이 깨지면서 원래 있던 사시가 겉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
사시는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닙니다. 어릴 때 없던 사시가 성인이 되어 생겼다면 위험한 사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눈을 움직이는 근육과 관계된 뇌신경에 문제가 생겨 ‘마비 사시’가 발생한 것일 수 있고요. 갑상선 질환이나 근무력증처럼 눈을 움직이는 근육의 움직임에 장애를 줄 수 있는 병이 원인일 수도 있겠죠. 단순히 스마트폰을 오래 보거나 옆으로 눕는 행동이 없던 사시를 만들어 낸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
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성분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해당 성분을 함유한 모든 제품에 동일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