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정보가 아닙니다.
콩팥병의 식이 제한 원칙은 진행 단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를테면 사구체 여과율이 60ml 이상이신 분들은 저염식을 실천하고 단백질을 과식하지 않는 정도로 권장드리지만, 사구체 여과율이 60ml 이하이신 분들부터는 추가적으로 인 섭취를 제한하고, 사구체 여과율이 30ml 이하신 분들은 단백질과 칼륨을 제한할 것을 권장드리죠. -사구체 여과율 ≥ 60ml : 저염식, 단백질 과식 제한 -사구체 여과율 30~59ml : 저염식, 단백질 과식 제한, 인 제한 -사구체 여과율 < 30ml : 저염식, 단백질 제한, 인 제한, 칼륨 조절 |
저염식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가공식품에 더 많은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테면 삼겹살 200g에는 약 88mg 정도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지만, 베이컨은 60g에도 420mg의 나트륨이 들어가죠. 감자를 후렌치후라이로 먹을 경우 100배의 나트륨을 섭취하게 되고, 토마토를 케찹으로 먹을 경우엔 무려 400배에 가까운 수치를 섭취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릇이 크고 국물이 있는 면 요리 역시 나트륨 수치가 아주 높아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면 요리를 먹을 때에는 국물을 피하시고, 면은 남길 것을 권장합니다. |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칼륨은 몸에 이로운 성분이지만,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원활하게 몸 밖으로 칼륨을 배출하지 못해 고칼륨혈증에 이르게 될 수 있습니다. 칼륨은 조금만 수치가 높아도 심각한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콩팥병이 있는 분들은 반드시 칼륨 섭취를 주의하셔야 합니다. 칼륨은 미역, 참외, 감자나 쑥, 겨자, 팥, 시금치, 밤, 적양상추, 두릅, 뿌리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요. 이 중에서 특히 감은 칼륨과 더불어 당 함량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말려서 먹는 곶감은 더욱 안 좋습니다. |
인 역시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성분입니다. 인이 체내에 쌓이면 혈관의 칼슘에 달라붙어 혈관 석회화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식품은 사골국과 패스트푸드, 탄산음료입니다. 또한, 고기와 우유에도 약간의 인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콩팥 기능이 떨어지시는 분들은 양을 제한하는 게 좋습니다. |
|
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정보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