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성분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해당 성분을 함유한 모든 제품에 동일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귀지는 외이도의 피지선과 땀샘 분비물이나 표피세포, 각질세포와 외부 먼지가 함께 섞여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귀지는 효소 등 여러가지 좋은 성분이 있고, 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꼭 제거할 이유는 없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지를 꼭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첫 번째, 귀 안에 염증이 있어 확인이 필요하지만 귀지가 가려 귀 안쪽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두 번째, 지성피부나 물귀지인 경우나 귀를 자주 만지고 면봉을 자주쓰는 경우
위와 같은 경우는 귀지가 뭉쳐져서 플러그 형태가 되어 귀를 막히게 만들어 진물, 냄새, 염증이 유발되기 때문에 꼭 귀지를 제거하셔야 합니다. |
귀지는 일반적으로 귀 바깥쪽 1/3에만 생기고, 고막이 존재하는 안쪽은 귀지가 생기지 않습니다.
귀에서 바스락 소리가 나는 경우는 원래 귀지가 있어야 할 위치보다 더 귀 안쪽으로 들어갔기 때문인데요. 말하고 씹다보면 인체 자체적으로 이러한 귀지를 저절로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자정작용을 하지만, 손이나 면봉으로 파서 바깥쪽에 있는 귀지를 안쪽으로 밀어넣는 경우에 귀지가 귀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귀지를 빨아들이는 석션으로 귀지를 제거하면 됩니다. |
ㅣ이비인후과 의사가 말하는 생활 속 귀 건강관리 팁 |
1. 목욕 후 면봉으로 단순히 물기만 제거해야합니다.
좀 더 깊숙히 넣어 귀를 후비면 귀지를 계속해서 안으로 밀어넣게 할 뿐만 아니라 면봉의 실밥이 풀려 외이도 벽에 염증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2. 자정이 안되는 사람의 경우 귀지제거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귀지를 외부로 빼주는 자정작용이 불가한 사람은 귀지제거액으로 귀지를 녹일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귀지제거액은 외이도에 염증이나 고막천공이 있다면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
|
본 컨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성분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해당 성분을 함유한 모든 제품에 동일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